삼성인력개발원, AI·XR 결합 차세대 교육 도입으로 학습 혁신 선도

본문

2015f1d848070ee90bfa1175da645da0_1762931292_0207.jpg
 

(다세해뉴스=이상엽 기자) 삼성인력개발원이 11월부터 AI(인공지능) XR(확장현실)을 결합한 혁신적인 차세대 교육 프로그램을 본격 도입하며 임직원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강의실 중심 교육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어 몰입도 높은 학습 경험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입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헤드셋 형태 XR 기기인 **‘갤럭시 XR’**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갤럭시 XR 기반 교육의 특징 및 효과 극대화 전략

삼성인력개발원은 신입사원부터 고위 임원까지, 임직원 교육 전반에 걸쳐 갤럭시 XR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11월에는 우선적으로명상삼성 역사체험리더십외국어토론 등 5개 교육에 AI·XR 기술을 접목한 콘텐츠를 적용했습니다.

갤럭시 XR을 착용한 교육생들은 가상 공간에서 음성, 시선, 제스처 등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별 맞춤 학습을 진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938년 삼성상회 창업 당시로 돌아가 역사 체험을 하거나, 가상 환경에서 프레젠테이션, 회의 연습, 부서원 간 갈등을 조율하는 롤플레이 등을 실습할 수 있습니다. 연간 2만 명 이상의 임직원이 이 교육을 통해 업무 스킬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갤럭시 XR **'멀티모달 AI'**에 최적화된 기기라는 점에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갤럭시 XR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며, AI가 사용자가 보고 듣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개인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혁신 교육 프로그램

AI·XR 결합 교육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학습의 몰입도와 실전 스킬 강화를 동시에 추구합니다.

1. 시공간을 넘는 '가상체험'으로 몰입도 극대화

가상체험형 교육은 현실에서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시공간을 구현하여 몰입도 높은 체험형 학습을 제공합니다. 이는명상삼성 역사체험 교육에 적용되었습니다.

  • 명상 교육: 가상의 환경 또는 삼성 영덕 명상센터 주변 자연경관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에서 실제처럼 명상을 진행합니다.

  • 삼성 역사체험: 1938년 삼성 창업 당시의 시공간으로 이동하여 회사의 모습을 360도로 둘러보며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탐색합니다. 단순히 영상을 시청하는 수동적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공간 안에 들어가 직접 체험함으로써 높은 몰입도를 느낄 수 있습니다.

2. AI 기반 '롤플레잉'으로 실전 스킬 강화

롤플레잉 교육 AI 아바타와 함께 실전과 유사한 상황에서 다양한 스킬을 연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리더십외국어토론 교육에 적용되며, 기존의 사람 강사/퍼실리테이터 중심 롤플레잉과 차별화됩니다.

  • 사실적인 환경 및 개인화된 피드백: XR 속 사실적인 환경과 AI 기술이 결합하여 학습자에게 개인화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무한 반복 연습: 교육생은 AI 부서원과의 1:1 면담, AI 외국인 아바타와의 대화, AI 사회자가 주재하는 토론 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실습과 달리 실수에 대한 부담 없이 무한 반복 연습이 가능합니다.

  • 즉각적인 리포트: 롤플레잉 종료 후 AI 기술을 통해 개인별 즉각적인 피드백과 상세한 학습 리포트를 제공받아 실전 스킬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향후 계획: 콘텐츠 고도화 및 차세대 기술 협력

삼성인력개발원은 앞으로도 교육·콘텐츠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자문단과 교육생들의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AI·XR 관련 신규 콘텐츠를 발굴하고 기존 콘텐츠를 더욱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삼성전자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앞으로 출시될 차세대 XR 기기를 활용한 선도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이러한 삼성인력개발원의 행보는 갤럭시 XR이라는 첨단 기술을 임직원 교육에 통합하여 체험형 학습개인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고, 궁극적으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미래형 인재 개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현재까지 총 301건의 기사가, 최근 1달 동안 60건의 기사가 발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