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웅 의장 'AI 컨닝 논란, 본질은 자격증 발급 기관으로 전락한 대학의 취약성' 지적

본문

박태웅 의장은 언론인 출신이자 IT 및 미디어 분야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아온 기업가 및 IT 전문가이다. 현재 녹서포럼 의장과 한빛미디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AI와 사회 변화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하는 저술가 및 강연자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최근 연세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가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시험 컨닝 사태가 불거지며 대학 교육 붕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웅 의장이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학이 수행해 온 기능 자체에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AI가 생겼는데 없어질 수는 없으므로, AI가 있는 사회를 상정하고 제도들을 바꿔 나가야 한다"며, 이번 컨닝 사태는 지금까지 아무런 대비 없이 온 결과라고 진단했다.


시험은 대학의 아주 일부분… 취업 위한 '자격증 장사'가 비극 초래

박 의장은 AI 컨닝 논란에 대해 "대학에서 일어나는 활동 중 시험은 아주 일부분"이라며 "놀랍게도 시험이 AI로 치팅(Cheating)이 되니 마치 대학 제도 자체가 무너진 것처럼 받아들인다"고 비판했다. "사실은 모든 과정들이 이미 취약해져 있었는데, 시험과 자격증이라는 커튼으로 살짝 가려 놨다가 이번에 커튼이 찢어지면서 취약한 게 한꺼번에 드러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장은 대학이 본래의 학문 탐구 기능을 상실하고 취업을 위한 '자격증 발급 기관'으로 전락했기 때문에 시험 문제가 비대해졌다고 분석했다. 중학생들조차 대학을 '먹고 살려고, 취업하려고 간다'고 답하는 현실을 언급하며, "한국은 대학교가 자격증 장사를 하는 곳이기 때문에 시험이 무지무지 중요한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습니다.


AI는 '슈퍼 트레이너', 운동은 내가 해야한다

AI를 활용한 시험 방식을 비판하며 박 의장은 '헬스 클럽 비유'를 들었는데, 그는 공부란 "뇌의 새로운 개념들을 만들어 뉴런에 연결된 뭉치를 만드는 과정"이며, 이는 헬스 클럽에서 기구를 들어 근육을 키우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AI가 답을 하게 만드는 것은 유능한 트레이너가 왔는데 '내 대신 한 시간 동안 기구를 좀 들어줘'라고 하는 것과 똑같은 거예요. 근육이 트레이너한테 생기죠. 미친 거죠".


AI를 현명하게 활용하는 방법은 트레이너에게 운동 계획을 짜달라고 요청하고, 학습자는 직접 운동을 통해 근육을 키우는 것처럼, AI에게 학습 계획이나 모르는 개념을 묻고 자신이 직접 공부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AI 할아버지 와도 문제없는' 플립 러닝 기반 교육 제안

박 의장은 AI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교육 모델로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을 제시했다. 학생들에게 수업 전 미리 공부를 하고 오게 한 뒤,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과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적어 오게 하여 수업 시간에는 토론과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업이 끝날 때 학생이 A4 반 페이지 정도의 짧은 글(뭘 배웠는지)을 쓰게 하고 점수는 그것으로 매기면, "집에서 막히면 슈퍼 트레이너(AI)와 대화하면서 공부를 다 하는 거예요. AI 할아버지가 와도 대학 교육은 아무 문제가 없어요"라고 주장했다. 또한, "600명을 모아놓고 사지선다를 풀게 하는 것은 대학교 존재를 자기 부정했다"고 비판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국민연금 안식년' 도입

궁극적으로 대학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사회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는 화두를 던지며, '국민연금 안식년' 제도를 제안했다.


"모든 국민들이 평생에 두 번 안식년(1년, 최저 생계비 지급)을 갖게 해 주는 거예요. 어차피 늙어서 받을 거를 당겨서 받는거죠".


이를 통해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대학에 가지 않고, 안식년 동안 여행이나 다른 직업을 체험하며 자기 인생의 진로를 충분히 탐색하고, 정말 학업의 뜻이 있을 때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장은 "AI가 부가가치를 엄청 만들어 낼 것"이라며, 그 일부를 떼서 사회적 안전판을 탄탄하게 구축하고, "대학교가 더 이상 자격증 발급 기관이 안 돼도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게 어른이 해야 될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현재까지 총 377건의 기사가, 최근 1달 동안 128건의 기사가 발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