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 전세계 인터넷 장애, 대형 CDN 구조의 취약성

본문

웹 인프라 거인 ‘클라우드플레어’ 오류로 전 세계 주요 서비스 마비

디지털 시대의 취약성이 드러나다.


0ff2bba1ce15be645716d89ef97f9b59_1763701000_2105.jpg
지난 화요일 18일 밤,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들이 갑작스러운 접속 장애로 혼란을 겪었습니다. 오후 8시 30분경(한국시간)부터 웹 인프라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 기업은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약 20%를 처리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어, 이번 오류는 챗GPT, X(구 트위터), 구글, 유튜브 등 다수의 글로벌 서비스 접속 불가능 혹은 지연 사태를 초래했습니다.


전세계 인터넷 장애 & 마비 사태

클라우드플레어가 멈추면 생기는 일클라우드플레어는 웹사이트의 원활한 운영을 돕고 온라인 위협으로부터 서비스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온라인 인프라 기업입니다. 이들의 네트워크는 웹사이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Content Delivery Network) 및 보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핵심 인프라에 문제가 발생하자, 그 여파는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X(구 트위터)와 챗GPT 같은 인기 플랫폼은 물론,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의 대형 서비스와 온라인 게임 리그오브레전드(LoL),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까지 세계 곳곳의 수많은 서비스가 한때 중단되거나 접속이 지연되는 전 세계적인 디지털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가 오후 11시 30분께 서비스를 수정하면서 일부 사이트 접속은 정상화되었지만, 문제는 즉시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이후에도 서비스의 완전 복구를 위해 몇 시간 동안 추가 작업이 이어진 것으로 관측됩니다.



장애 원인 분석

비정상 트래픽이 던진 경고장클라우드플레어는 이번 대규모 접속 장애의 이유에 대해 "한 서비스로 들어오는 비정상 트래픽이 급증하여 클라우드플레어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일부 트래픽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이 비정상 트래픽이 갑자기 왜, 어떻게 급증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 클라우드플레어 다운 사태 핵심 요약 >

▪️클라우드플레어 역할 : 웹 인프라 및 CDN, 전 세계 트래픽 약 20% 담당

▪️주요 피해 서비스 : 챗GPT, X, 구글, 유튜브, LoL, 코인베이스 등 광범위

▪️기업 설명 원인 : '비정상 트래픽 급증'으로 인한 네트워크 오류


디지털 시대의 역설 : ‘몰아주기’ 구조의 취약성

이번 사태는 지난 10월 아마존의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에 오류가 생겨 글로벌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했던 사례를 다시금 떠올리게 합니다. 이들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양대 산맥으로 불립니다.


수많은 기업과 주요 온라인 서비스들이 소수의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와 웹 인프라 기업에 의존하면서 발생하는 '디지털 집중 현상'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프라의 '몰아주기' 구조 하에서는 작은 오류 하나가 전 세계적인 대형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취약성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이는 디지털 전환의 편리함 이면에 숨겨진 구조적 위험성에 대한 경고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현재까지 총 376건의 기사가, 최근 1달 동안 127건의 기사가 발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