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한국 현지법인 설립 발표...국내 대기업과 파트너십 추진
본문

(다세해뉴스-이상엽) 오픈AI가 10일 한국 현지법인 '오픈AI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세 번째, 전 세계적으로는 열두 번째로 설립되는 지역 거점이다. 회사 측은 국내 기업계, 교육기관, 정부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의 AI 혁신 전환을 지원하는 핵심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날 서울 광진구에서 진행된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은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와 혁신 지향적 기업들, 그리고 신속한 디지털 기술 수용 능력을 보유한 AI 혁신의 최적 환경을 제공한다"며 "오픈AI의 선진 기술력과 다각적인 협력 체계를 통해 산업계, 학술계, 공공 부문 전반의 AI 패러다임 전환을 공동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와의 전략적 제휴 진행 중
오픈AI는 지난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재 ChatGPT와 카카오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권 CSO는 "API 모델을 활용하여 카카오 개발팀과 오픈AI 개발팀 간의 공동 작업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SK와 하드웨어 분야 협력 계획
오픈AI코리아는 반도체 및 하드웨어 영역에서 삼성전자, SK그룹과의 협력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권 CSO는 "현지 파트너십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한다"며 "데이터센터급 협력 관계나 반도체, 하드웨어 분야에서 SK그룹이나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계 협력 본격화 및 정부와의 공조
학술 분야에서는 11일 서울대학교와의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교육계와의 본격적인 협력에 나선다. 또한 '오픈AI 포 컨트리(OpenAI for Countries)'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 관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AI 주권(소버린 AI) 정책과 관련하여 오픈AI는 비즈니스 협력 파트너로서의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권 CSO는 "한국은 AI 영역에서 종합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AI 자주권 확보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한국 정부의 사업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클라우드 협력 관계 구축에서도 현지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단계적으로 국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고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이용 현황 및 향후 계획
오픈AI는 2022년 ChatGPT 서비스 시작 이후 최근 주간 활성 이용자 수 7억 명을 넘어섰으며, 국내 ChatGPT 사용량은 API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10위권에 위치한다고 밝혔다.
오픈AI코리아의 대표이사는 이날 발표되지 않았으며, 직원 채용 규모와 사무소 위치에 대해 권 CSO는 "단계적으로 조직을 구성해 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 이전글라이너, 학술 연구용 AI 에이전트 2종 론칭... "논문 심사부터 설문까지 한번에" 25.09.11
- 다음글퀄컴-구글, 차량용 AI 에이전트 기술 공동개발 추진 25.09.0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