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너, 학술 연구용 AI 에이전트 2종 론칭... "논문 심사부터 설문까지 한번에"

본문

ee9434affac0216900d69677c4e697bb_1757552533_857.jpg
 

'피어 리뷰' '설문 시뮬레이터' 동시 출시... 연구 효율성 대폭 향상 기대

AI 전문 스타트업 라이너가 학술 연구 분야의 생산성과 완성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리서치 전용 AI 에이전트 2종을 동시 발표했다고 11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제품은 논문 투고 전 동료 심사 과정을 AI로 재현하는 '피어 리뷰(Peer Review)'와 가상의 AI 인물들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설문 시뮬레이터(Survey Simulator)'.

10분 만에 완료되는 논문 동료 심사 시스템

'피어 리뷰' 에이전트는 연구자들이 실제 학술지 제출 이전에 겪어야 하는 긴 동료 심사 과정을 단 10분 내에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은 5개의 전문 AI 에이전트가 협력하여연구 독창성 및 혁신성 분석실험 방법론의 신뢰성과 재현성 검토논증 구조의 논리성 및 일관성 확인연구 기여도와 파급효과 평가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시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한다.

연구자는 논문 전체에 대한 포괄적 피드백뿐만 아니라 특정 단락이나 참고문헌에 대한 세부적인 코멘트까지 받을 수 있다.

라이너의 자체 검증에 따르면, AI·통계·데이터사이언스 분야 권위 있는 국제 컨퍼런스 'ICLR'의 실제 논문 리뷰와 비교 시 70% 이상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기존 리뷰 대비 평균 2배 이상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설문 조사 솔루션 제공

'설문 시뮬레이터'는 사회과학, 경영학, 마케팅 등 설문 중심 연구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도구다. 연구자는 설문지 PDF를 업로드한 후, 연령·성별·거주지역 등 다양한 인구학적 배경을 가진 AI 페르소나 30~100명을 선정하여 가상 설문을 실행할 수 있다.

기존에 100명 규모의 설문 참가자를 모집하려면 수일의 시간과 평균 150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이 시뮬레이터를 활용하면 동일한 규모의 데이터를 약 1달러의 비용으로 3분 내에 확보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하다.

연구자들은 이를 통해 설문 문항의 애매함, 예상 밖의 응답 경향, 가설의 취약점 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험 설계안을 저비용으로 반복 검증하여 실제 실험의 실패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연구 전 과정의 디지털 혁신 추진

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핵심적인 병목 현상들을 리서치 AI 에이전트로 해결하여 연구자들이 더욱 신속하고 정밀한 연구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정밀한 AI 검색 서비스와 차세대 리서치 플랫폼 구현을 위한 두 축의 리서치 에이전트 기술을 지속 발전시켜 인류 지식 확장에 기여하는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