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No.1 인 나이키 코리아 매출은 그대로인데 순이익은 반토막 무슨일?

profile_image
작성자이상엽

댓글 0건 조회 168회 작성일 25-05-28 16:14

본문


71f0c51452b9168883cef9729cc3a4e0_1748417833_5296.jpg
글로벌 브랜드 '나이키'의 한국 법인나이키코리아의 2024년 재무제표를 보면,
“전년 대비 
매출은  큰 변화가 없지만, 순이익은 반토막, 무슨일이 있었을까?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자. 


71f0c51452b9168883cef9729cc3a4e0_1748412952_5458.png 


전년 대비 나이키코리아의 전체 자산은 약 5% 감소하였지만, 현금성 자산이 2배로 늘었다. 
현금성 자산이 눈에 띄게 증가 하였다. 


71f0c51452b9168883cef9729cc3a4e0_1748413014_2029.png


  • 매출은 전년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음 
  • 판관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반토막 
  • 순이익은 55% 급감

71f0c51452b9168883cef9729cc3a4e0_1748413042_4806.png
 


  • 영업에서 벌어들인 현금이 폭발적 (828억 원)
  • 투자활동은 꾸준히 집행 (설비 등 515억 원 사용)
  • 배당, 차입금 상환, 자본금 변동 일절 없음재무활동 "0"

왜 현금이 이렇게 늘었나?

순이익은 482억인데,
영업 현금은 무려 828억 원이 들어옴. → 이 차이는 어디서?

운전자본 항목 변화

효과

재고자산 감소

+1,543억 원

외상매출금 감소

+671억 원


, 재고자산 및 외상매출금의 감소가 눈에 띄게 줄어 들었다


71f0c51452b9168883cef9729cc3a4e0_1748413126_5774.png


배당·송금 전혀 없음

  • 단 한 줄도 이익잉여금 감소 항목 없음
  • , 배당도 없고, 본사 송금도 없음
  • 이익이 생기면, 전액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쌓기만 함

   2001년 법인 설립 이후 단 한 번도 배당 안 했을 가능성 농후
  실제로 이익잉여금이 자본금의 23배 수준에 달함 (자본금 약 132억 , 이익잉여금 약 3000억)

이익잉여금이 자산처럼쌓이는 구조

  • 2023년 말: 이익잉여금 2,556
  • 2024년 말: 3,038+482 (당기순이익과 일치)
  • , 나이키코리아는 벌면 그대로 쌓는 구조
  • 배당금, 중간송금, 자사주 매입 등 자본활동 없음

결론: 나이키코리아의 자본 전략은극단적 현금 보존’ 

이익잉여금

    3,038억 원    (전액 내부 유보)

배당금                  

원    (공식적 지급 이력 없음)

재무활동 현금흐름

   없음


샤넬 처럼 이익잉여금을 보유 하지 않고 전부 100% 배당하기도 하지만 이처럼 전혀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추측 가능한건 나이키코리아의 매출원가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공장 제조비용이 아니라,
    미국 본사 또는 중간 허브로부터 구매한 내부거래 가격입니다.
  • 이 가격 안에는 이미 본사의 마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 법인의 이익률은 의도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 결국, 본사 수익은 매출원가 항목 안에 숨어있다고 볼 수 있다. 


핵심 포인트

  • "원가"라는 표현보다는 "구매단가" 또는 "본사로부터 구매한 상품 가격"이라는 표현이 훨씬 정확합니다.
  • 이는 일반 제조업과 전혀 다른 회계구조이기 때문입니다.
  • 나이키코리아처럼 재고자산이 있는 무형 수입법인은 제조비 분석보다 매입처 구조 / 이전가격 / 유보이익 분석이 핵심입니다.

그럼 왜 배당을 하지 않는가?

나이키코리아 한국 법인이 미국 본사에 배당할 경우, 한국에서 원천징수가 이루어지고 미국에서도 다시 법인세를 납부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당 하지 않는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만약 1000억을 배당 할 경우 최소 200억 이상은 세금으로 나간다고 볼 수 있다.  이 금액은 전년도 순수익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