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7월 15일부터 AI로 제작된 저품질 대량생산 콘텐츠 수익화 제한

profile_image
작성자이상엽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7-11 17:07

본문

bfe06b1276f2e72b3d4dbbeffd313ca7_1752742559_2809.jpg 

유튜브가 2025 7 15일부터 대량 생산되고 반복적인 AI 콘텐츠의 수익화를 제한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한다

이번 조치는 최근 급증한 저품질 'AI 슬롭(AI Slop)' 콘텐츠에 대한 대응으로, 플랫폼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호하려는 유튜브의 의지를 보여준다.

정책 변경의 배경: AI 슬롭의 급증

최근 유튜브에는'AI 슬롭(AI Slop)'이라 불리는 저품질 AI 콘텐츠가 폭증하고 있다

AI 슬롭이란 기존 이미지나 영상 클립에 AI 음성을 덧입힌 콘텐츠로, 쉽게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미국 힙합계 거물 디디(션 컴스)의 재판을 다룬 가짜 AI 영상은 수백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AI로 전적으로 제작된 '실화 범죄 시리즈'가 인기를 끌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고현정, 신애라, 박준형 등 유명인사들의 가짜 사망설이나 이혼설 등이 AI 콘텐츠를 통해 퍼져 당사자들이 직접 해명에 나서는 일이 빈발했다.

새로운 정책의 핵심 내용

제한 대상 콘텐츠

유튜브는 다음과 같은 '비진정성(inauthentic)' 콘텐츠의 수익화를 금지한다:

  • 대량 생산 콘텐츠: 템플릿을 사용해 거의 변화 없이 제작되거나 대규모로 복제 가능한 콘텐츠
  • 반복적 콘텐츠: 동일한 형식, 스크립트, 스타일을 반복 사용하여 독창적 가치가 없는 콘텐츠
  • AI 음성 덧씌운 영상: 기존 이미지나 영상에 단순히 AI 음성만 추가한 콘텐츠
  • 가짜 뉴스 및 딥페이크: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조작된 인물 영상

허용되는 AI 콘텐츠

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AI 활용 콘텐츠는 여전히 수익화가 가능하다:

  • 창작 도구로서의 AI 사용: 스토리텔링 강화를 위해 AI 도구를 활용한 경우
  • 상당한 독창적 요소 추가: 원본 영상에 해설, 수정사항, 교육적/오락적 가치를 크게 더한 경우
  • 인간의 창의적 개입: AI가 보조 역할을 하되, 인간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제작한 콘텐츠

유튜브의 공식 입장: "경미한 업데이트일 뿐"

유튜브 크리에이터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르네 리치(Rene Ritchie)는 이번 변화를 "기존 정책에 대한 경미한 업데이트"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량 제작되거나 반복적인 콘텐츠는 이미 수년 전부터 수익화가 제한되어 왔고, 시청자들 역시 스팸 콘텐츠로 인식해왔다"고 강조했다.

유튜브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AI 도구를 사용하여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크리에이터를 환영한다", **"콘텐츠에 AI를 사용하는 채널도 수익 창출 자격을 유지한다"고 명시했다.

크리에이터들의 우려와 대응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이번 정책이 리액션 영상이나 클립 기반 콘텐츠까지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그러나 유튜브는 기존의 재사용 콘텐츠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크리에이터가 점검해야 할 4가지 기준

  1. AI 도구 사용 여부와 방식
  2. 콘텐츠의 반복성 정도
  3. 음성·이미지 원본의 저작권 문제
  4. 편집의 창의성과 독창성

업계 전망과 파급 효과

단기적 영향

  • AI 콘텐츠 제작 도구 업체들의 매출 감소 예상
  • 대량 생산에 의존하던 채널들의 수익 급감
  • 고품질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유리한 환경 조성

장기적 전망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유튜브가 이런 변화를 소규모 업데이트라고 축소해서 말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AI 슬롭 제작자들을 대거 퇴출시킬 수 있는 명확한 정책"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정책은 단순한 가이드라인 변경이 아니라, 크리에이터 생태계에 대한 구조적 정비로 평가된다

유튜브가 플랫폼의 품질과 광고주들의 신뢰를 보호하기 위해 AI 콘텐츠에 대한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결론: 진정성 있는 콘텐츠의 시대로

유튜브의 이번 정책 변경은 "AI는 도구일 뿐, 진짜 가치는 인간의 창의성에서 나온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한다

AI 기술의 발전으로 콘텐츠 제작이 쉬워졌지만, 결국 시청자들이 원하는 것은 진정성 있고 가치 있는 콘텐츠라는 점을 재확인해 준다.

크리에이터들은 이제 단순한 양적 생산에서 벗어나 질적 우수성과 독창성에 더욱 집중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AI를 창작의 보조 도구로 활용하되, 인간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가치 있는 콘텐츠 제작에 중점을 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