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건이 넘는 서울 택배 배달 데이터를 통해 드러난 5가지 소비자 유형 라이프스타일

profile_image
작성자김문섭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5-08-12 10:51

본문

ed41d66a59ce9747c9d6cacd478c52d8_1754962795_213.jpg
" 배달 기록만으로도 도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보인다 "


연구 개요와 데이터 규모

서울시 2018~2022년 1억 3만 건이 넘는 패키지 배달 기록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함께 구매하는 품목 조합을 분석해 라이프스타일을 분류한 데이터 기반 연구입니다. 이 분석법은 단순 '누가 무엇을 샀다'를 넘어, 대규모 소비 패턴을 도시 사회의 거울로 재구성하는 최신 정량 분석 사례로 꼽힙니다.

분석 출처: arXiv


밝혀진 5대 라이프스타일 유형

뷰티 애호가

특징

 립스틱·쿠션·에센스 같은 신제품에 누구보다 빠르게 반응하며 세일 알림이 뜨면 결제는 이미 끝나 있습니다.

주문 패턴

 계절·날씨·기분에 따라 화장품 라인이 바뀜

상황

 출근하며 현관 앞 택배 박스를 열었는데, 안에서 립스틱이 줄줄이 나옴

패션 러버

특징

 오늘은 모자, 내일은 운동화, 모레는 가방. 쇼핑몰 신상품 업데이트 시간은 '알람 필수'

주문 패턴

 시즌 시작 전에 옷장 교체 완료

상황

 외출 준비하며 '오늘 저녁에 뭐 입지?'가 아니라 '오늘 택배 뭐 오지?'가 먼저 떠오름

워라밸형

특징

 낮에는 사무기기, 밤에는 취미 · 여가 아이템 주문

주문 패턴

 월요일엔 키보드, 금요일엔 와인잔

상황

 오전에 모니터 받으면서 오후에 요가매트 도착 알림 푸시

 주부형

특징

 생활·주방·식자재를 꾸준히 대량 주문. 정기배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주문 패턴

 쌀·세제·반찬류 세트 주문, 장바구니 즐겨찾기 최소 10품목

상황

 비 오는 날 현관에 쌀 20kg, 세제, 습기제거제가 나란히 대기

 육아·취미형

특징

 장난감과 캠핑용품이 같은 날 도착하는 집. 아이 물품과 '어른 장난감'을 동시에 구매.

주문 패턴

 방학 · 휴가 시즌에 주문 폭증

상황

 아이 장난감 주문하면서 본인 장난감도 몰래 주문하는 남편


지역성과 인구 특성과의 연관성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지리적 분포는 서울의 비즈니스 지역과 주거 지역 간 차이를 반영했습니다. 예를 들어, 패션 팬은 강남 등 도심에, 주부형은 주거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식입니다. 또한, 해당 유형이 많을수록 소득 수준, 출산율, 연령 분포 같은 인구학적 특성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강남·홍대·성수 : 패션 팬·뷰티 애호가 비중 높음
  • 외곽 주거지역 : 주부형·육아·취미형 다수
  • 업무 중심지 인근 : 워라밸형 비율이 뚜렷

이 분포는 해당 지역의 소득 수준, 연령대, 가족 구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시간에 따른 변화 흐름

연구는 COVID‑19 같은 외부 충격에도 주목했습니다. 팬데믹 이후에는 워라밸형 소비자가 증가하고, 육아·취미형 유형에서 관련 소비가 급증하는 등 라이프스타일 패턴의 진화가 감지되었습니다

  • 재택근무 확산 → 업무+취미 결합형 소비 증가
  • 외부 활동 감소 → 집 안 꾸미기·가족 중심 소비 확대


활용 가능한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진은 이번 분석을 통해 소비 행태를 실시간으로 분류·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정책 입안자에게는 지역 맞춤 복지·상권 정책에, 기업에는 제품 타깃팅과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현관 앞 택배 박스만 봐도, 그 사람의 생활 방식과 관심사가 보입니다. 이 글을 읽고 나니, 혹시 당신은 립스틱과 운동화를 번갈아 받는 '하이브리드형'? 아니면 쌀과 장난감이 함께 오는 '패밀리형'? 다음 택배가 도착하는 순간, 당신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들켜버릴지도 모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