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20만원 포인트 친구초대 이벤트 : 퍼주기일까 전략일까
본문
틱톡을 처음 설치하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준다. 친구를 초대하거나 미션을 채우면 보상이 더 커진다. 일부 캠페인에서는 조건을 채우면 최대 20만원 수준까지 포인트를 받았다는 사례가 있다. 라이브 방송에는 무료배송과 추가 쿠폰이 얹힌다. 크리에이터에게는 보상금이 붙는다. 겉으로 보면 무작정 퍼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앱 안에서 '보고 → 담고 → 결제'까지 한 번에 끝내는 습관을 만들려는 계산된 전략이다.
틱톡 20만원 포인트? 왜 이렇게 많이 퍼주나
새로운 장터의 첫 문제는 손님도 적고 판매자도 적다는 점이다. 둘 중 하나만 많아서는 거래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사람과 물건을 동시에 모아야 거래가 붙는다. 틱톡은 가입 포인트, 친구초대 포인트, 무료배송, 수수료 할인, 크리에이터 보상으로 진입 장벽을 낮춘다. 이렇게 모인 이용과 판매 덕분에 데이터가 빠르게 쌓인다. 플랫폼은 어떤 영상이 어떤 상품을 잘 팔게 하는지 배운다. 학습이 끝나면 추천이 더 정확해진다. 잘 팔리는 영상이 더 많이 보이고, 더 많이 보이면 더 잘 팔리는 선순환이 생긴다. 이때부터 보조금을 줄여도 매출이 유지된다.
돈은 어디서? : 세 갈래 캐시플로
- 광고 수입 : 피드, 검색, 상세, 라이브에 광고가 붙는다.
- 쇼핑 수수료 : 앱 안에서 결제가 끝나면 판매 금액에서 커미션과 결제 수수료가 발생한다.
- 모회사 자금력 : 그룹 내 다른 서비스가 큰 매출을 만든다. 초기 보상과 쿠폰을 버틸 체력이 있다.
이 세 줄기의 돈이 포인트, 쿠폰, 무료배송을 떠받친다. 보조금이 단발 이벤트가 아니라 성장 예산이 되는 이유다.
한 건이 팔릴 때 돈의 흐름
소비자가 앱 안에서 결제한다.
→ 판매자는 판매가에서 플랫폼 커미션과 결제 수수료를 낸다.
→ 판매자가 설정하면 어필리에이트 커미션이 크리에이터에게 간다.
→ 약관에 따라 쿠폰·무료배송 비용 일부를 플랫폼이 보전한다.
→ 결국 판매자가 쓰는 광고비와 커미션은 같은 목적을 가진 비용이다. 보이는 만큼, 팔리는 만큼 쓰고, 팔린 만큼 바로 회수하는 구조다.
외부몰로 나가면 중간 이탈이 생긴다. 틱톡은 앱 안에서 결제를 닫아 이탈을 줄인다. 같은 노출이라도 실제 구매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수수료 수입이 안정된다. 영상·상품·구매 기록이 쌓일수록 추천은 더 정교해진다. 잘 팔리는 영상이 더 넓게 노출된다. 선순환이 만들어진다. 이 단계가 오면 포인트와 무료배송을 줄여도 장터가 돌아간다.
다른 플랫폼보다 보상이 강한 이유
숏폼은 '보고 바로 행동'을 유도한다. 시청과 구매 사이의 거리가 짧다. 여기에 라이브 커머스가 결합하면 포인트와 쿠폰은 단순 미끼가 아니라 '앱 안에서 산다'는 습관을 만드는 도구가 된다. 습관이 자리 잡고 이용자가 일정 규모를 넘어서면 수수료 정상화와 유료 노출 전환만으로도 손익을 맞출 수 있다.
놓치기 쉬운 조건
- '신규' 자격 확인 : 최근 사용 이력, 기기 중복, VPN 사용은 보상 제외 사유가 될 수 있다.
- 틱톡 친구초대 출석·미션 누락 주의 : 연속 출석을 놓치면 포인트가 줄거나 사라지게 된다.
- 전환·출금 조건 확인 : 전환처, 최소 단위, 세금 기준이 다르다.
- 규정 위반 주의 : 대리 설치·허위 유입은 포인트 몰수와 계정 제한으로 이어진다.
- 조건은 바뀔 수 있음 : 금액·기간·참여 요건은 수시 변경된다. 참여 전 최신 공지를 확인한다.
틱톡은 '돈을 쓰는 플랫폼'이 아니라 '돈이 돌게 만드는 플랫폼'이 되려 한다. 신규가입 · 친구초대 포인트와 쿠폰은 시동이다. 인앱 결제는 기어다. 데이터는 연료다. 광고와 수수료는 엔진이다. 이 부품이 맞물리면 퍼주기처럼 보이던 정책이 하나의 비즈니스로 변한다. 숫자는 바뀔 수 있어도, 숫자를 움직이는 원리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 원리를 이해하면 각자 유리한 선택을 할 수 있다.
[ 출처 ]
Reuters·FT 요약 보도: 틱톡 미국 2023년 매출 약 160억 달러
Business of Apps: 틱톡 2024년 매출 추정과 수익구성
Momentum Works·Tabcut: 틱톡 샵 2024·2025 상반기 GMV 추이
Tech in Asia: 도우인 커머스 2024년 GMV 약 3.5조 위안
Webgility·Orichi: 틱톡 샵 수수료 구조와 예시
TikTok Ads Help: 제휴 커미션 범위(1~80%)
TikTok Rewards/Creativity Program 안내: 성과 기반 보상과 정산
업계 동향: 초기 보조금에서 수수료·유료화로의 전환
- 이전글'진격의 거인은 역사야' 밈은 왜 생겼나, 작품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25.09.17
- 다음글상생페이백 조건과 신청방법 : 누가, 얼마나, 어떻게 받는가 25.09.1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