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조건과 신청방법 : 누가, 얼마나, 어떻게 받는가

본문

ea43c4d22cc52467f9688d1107821bc0_1757986407_9126.jpg
정부가 9~11월 카드 소비가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어난 금액의 20%를 환급하는 '상생페이백'을 시작했다.


환급은 월 최대 10만 원, 3개월 합산 최대 30만 원이며, 지급 수단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다. 신청은 9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용 누리집에서 받는다. 각 월 사용 증가분은 다음 달 15일에 순차 지급된다. 


상생페이백 조건 : 누가 대상이고, 어디서 신청하나

대상은 2024년에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내·외국인이다. 전용 누리집에서 본인 인증만 하면 9~11월 실적이 자동 반영된다. 혼잡 분산을 위해 신청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가 적용된다. 매일 23시 30분~익일 0시 30분에는 시스템 점검으로 접수가 중단될 수 있다. 



ea43c4d22cc52467f9688d1107821bc0_1757986427_9036.jpg
얼마나 받나 : 계산 예시

올해 해당 월 카드 사용액에서 본인의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을 뺀 증가분의 20%를 환급한다.

예를 들어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이 100만 원, 올해 10월 카드 사용액 130만 원이면 증가분 30만 원의 20%인 6만 원을 11월 15일에 받는다. 


무엇이 실적으로 인정되나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등 소상공인 중심 오프라인 결제가 원칙적으로 인정된다.

백화점 · 아웃렛 · 대형마트 · SSM,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온라인 쇼핑몰·배달앱 등 전자상거래 결제는 제외된다. 해외 결제도 제외다. 지역 제한은 없다. 


상생페이백 신청방법 A to Z


1) 앱 설치와 기본 설정

환급은 현금이 아니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들어온다. 먼저 공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을 설치하고, 안내에 따라 본인 인증과 결제·충전 수단 등록을 마친다. 앱 하나로 잔액·내역 조회, 결제, 선물, 가맹점 검색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다.


2) 환급 수령과 확인

상생페이백으로 확정된 금액은 매월 15일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된다. 앱을 열어 잔액과 입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이다. 


3) 결제 방법(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두 방식이 사용된다. 매장 QR을 내가 찍는 방식(MPM), 혹은 내 화면의 QR/바코드를 점주가 찍는 방식(CPM)이다. 앱에서 '상품권' 결제를 선택하고 안내대로 스캔 또는 제시하면 된다. 결제는 온누리상품권 잔액으로만 이뤄지며, 부족분을 일반카드로 '병행결제'하는 것은 불가하다. 


4) 사용처 찾기

온누리상품권 공식 사이트에서 디지털·지류 가맹점을 통합 지도에서 검색할 수 있다. 지역·업종별로 필터링해 가까운 사용처를 고르면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