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케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AI검진리포트' 서비스 론칭

본문

7b3bdb5b56fa61df00af5fe2fc5c09cf_1758170350_7136.jpg
 

(다세해뉴스-이상엽) 건강검진을 받고도 결과지의 복잡한 의학용어와 수치 때문에 정작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런 고민을 해결할 혁신적인 서비스가 등장했다.

GC케어가 지난 15일 발표한 'AI검진리포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어려운 건강검진 결과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해주는 서비스다.

내 몸의 진짜 나이는 몇 살일까?

이 서비스의 핵심은 '8가지 신체능력 나이 분석' 기능이다. 소화, 면역, 해독, 배출, 대사, 운동, 호르몬, 혈액순환 등 8개 주요 신체 기능을 각각 나이로 환산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40세 직장인의 경우 실제 나이는 40세지만 혈액순환 나이는 45, 면역력 나이는 35세로 나타날 수 있다. 기존 서비스들이 단순히 전체적인 건강나이나 장기별 나이만 제시했다면, 이 서비스는 여러 장기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반영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몸 상태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실제로 폐 검사 수치는 정상이지만 계단 오르기가 힘든 경우처럼, 검사 결과와 실제 체감하는 몸 상태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AI가 제공하는 4가지 핵심 서비스

'AI검진리포트'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AI 핵심 요약: 복잡한 검진 수치들을 간단히 정리하여 개선된 점과 악화된 점을 균형있게 제시하고, 생활습관 개선 포인트까지 안내한다. 가족력, 문진 결과는 물론 위내시경, 초음파 같은 정밀검사 결과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질환 발생 가능성 안내: 고혈압, 당뇨병 등 19개 주요 질환에 대해 과거와 현재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발병 위험도를 예측해준다.

△8가지 신체능력 나이 분석: 앞서 설명한 핵심 기능으로, 각 신체 기능의 상태를 나이로 환산해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맞춤형 건강관리 가이드: 각 기능별 식습관 가이드와 영양제 추천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건강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인 맞춤형 AI 기술력

이 서비스는 30년 이상의 건강검진 경험을 가진 전문의와 AI 개발자들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특히 국내 건강검진 데이터 300만 건 이상을 학습한 전용 AI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인의 건강 특성을 정확히 반영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ISMS-P 인증 환경에서 개발되어 최고 수준의 보안을 보장한다.

단계적 서비스 확대 계획

GC케어는 현재 9월부터 고객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순차 제공하고 있으며, 연말에는 일반인도 국가건강검진 결과를 쉽게 해석할 수 있는 'AI 공단검진 리포트'를 추가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서비스는 GC케어의 건강관리 앱 '어떠케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김진태 GC케어 대표는 "AI검진리포트는 복잡한 건강검진 결과를 누구나 한눈에 쉽게 이해하도록 지원한다"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필요한 건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