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뇌파 측정기로 치매 환자 97% 식별 성공
본문
복잡한 영상 장비 대신 간편한 2채널 EEG로 조기 스크리닝 실현 가능성 확인
(다세해뉴스-이상엽) 국내 뇌공학 전문업체 파낙토스(CEO 박병운)가 웨어러블 2채널 뇌전도 기반 치매 조기 스크리닝 연구결과를 담은 학술논문이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의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공식 발표되었다고 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파낙토스 연구소 장국인 박사를 중심으로 뇌공학·의공학·머신러닝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진이 진행했으며, 값비싼 뇌영상 장비 대신 간편한 웨어러블 2채널 뇌전도 측정장치만으로 치매환자와 건강인을 97.05% 정확도로 식별해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뇌파 분석만으로 치매 진단이 현실화될까?
본 연구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확진환자 29명과 정상 대조군 54명 등 총 83명이 참여했다. 모든 참가자는 파낙토스에서 개발한 휴대형 뇌전도 장비(뉴로하모니)를 이용해 전두엽 영역의 뇌파를 측정받았으며, 수집된 뇌전도 데이터는 Xgboost 알고리즘 기반 머신러닝 모델로 분석되었다.
연구팀은 뇌전도 지표 중 피크주파수(Peak Frequency), 세타파 및 알파파 강도, 일관성(Coherence) 등의 요소를 중점적으로 분석했으며, 특히 피크주파수 단일 지표만 활용해도 97.05%의 균형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의 다채널 뇌전도나 MRI, PET 등 고비용 장비 없이도 치매 조기 스크리닝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다.
국제 과학계에서 인정받은 한국 기술력
'Scientific Reports'는 네이처 출판그룹에서 발행하는 오픈액세스 국제저널로, 2013년 JCR 기준 '학제간 과학분야 상위 5위'를 기록하며 전세계 연구진들로부터 높은 신뢰성과 인용률을 인정받고 있는 학술지다.
연구책임자인 장국인 박사는 "파낙토스의 뉴로피드백 시스템과 뇌전도 데이터 분석기술이 단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원을 넘어서 실질적인 임상진단 도구로 활용 가능함을 증명한 성과"라며 "향후 대규모 다기관 연구진행과 상용화를 통해 치매 조기진단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가겠다"고 설명했다.
미래 발전 방향
파낙토스는 이번 연구성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발전계획을 수립했다: △대규모 치매환자 대상 다기관 임상시험 실시 △인공지능 기반 뉴로피드백 & 뇌파진단 및 생성형 AgenticAI 플랫폼 고도화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대상 기술보급 확대 △고령화사회 대응 'Brint Senior' 프로그램 개발 등 종합적인 치매 예방·관리 솔루션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 논문 상세정보
- 논문명: 'Dementia classification using two-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features'
- 전문 보기: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93513-4
파낙토스 회사 개요
파낙토스는 1998년 창립된 국내 최초 뇌전도 기반 뉴로피드백 시스템 개발전문기업으로, 창업자 박병운 박사는 세계인명사전 등재 뇌과학 전문가이다.
동사는 자체 개발한 '뉴로하모니(NeuroHarmony)' 시스템을 중심으로 치매, ADHD, 우울증, 수면장애 등 다양한 뇌건강 문제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FDA 등록, ISO 13485 인증을 비롯한 다수의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 이전글카카오톡 채팅방에 AI 의료 상담사가 온다... 퍼슬리, 그룹챗봇 서비스 시작 25.09.05
- 다음글SNU서울병원 족부센터, 최소침습 엄지발가락 교정술 4천례 돌파 25.09.0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