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규모의 외국인 환자 유치

본문

307124aa8839727c10bbe3302f48f7d1_1757050331_8849.jpg
 

(다세해뉴스-이상엽) 서울시가 4일 발표한 보건복지부의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작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 117만 명 중 99 9642명이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는 전년도 47 3340명과 비교해 약 2배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12천억원 규모의 의료비 지출

외국인 환자들이 해외 발급 신용카드로 서울 의료기관에서 결제한 의료비는 총 1 2천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국 의료비 결제액 1 4천억원의 85.7%에 해당하는 규모로, 서울이 한국 의료관광의 절대적 중심지임을 보여준다.

미용 의료 분야가 주도하는 성장

진료과목별 분석에서는 피부과가 66 5382(64.2%)으로 가장 많은 환자를 유치했으며, 이어서 성형외과와 내과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K-뷰티와 성형 기술에 대한 해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전통 한의학도 글로벌 인기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한의학 분야의 급성장이다. 지난해 국내 한의 의료기관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3 3천여 명으로 전년 대비 약 85% 증가했으며, 한의원 이용 환자의 증가율은 113.2%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의 2 3천여 명과 비교해 전국적으로 한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별·지역별 분포 현황

환자 국적별로는 일본(42%), 중국(19%), 미국·대만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으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에 환자들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이 지역의 고급 의료 인프라와 접근성이 외국인 환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의료 인프라 확충이 성장 동력

서울시는 외국인 진료 기관의 대폭 확대가 이 같은 성과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2020 920곳에 불과했던 외국인 진료 기관이 2024년에는 1994곳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서울시의 체계적인 홍보·마케팅 활동, 전문 통역 코디네이터 운영, 신속한 행정 지원 서비스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외국인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유도했다는 평가다.

의료한류의 새로운 전환점

이번 성과는 단순한 숫자 증가를 넘어 한국 의료 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특히 첨단 의료 기술과 합리적인 가격, 우수한 서비스 품질이 결합되어 해외 환자들에게 매력적인 의료관광 목적지로 인식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의료진의 글로벌 역량 강화, 의료관광 전용 시설 확충, 다국어 지원 서비스 개선 등을 통해 아시아 의료관광의 중심 도시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