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제약, 양자컴퓨팅 기반 혁신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본문
(다세해뉴스-이상엽) 삼진제약이 양자컴퓨팅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신약개발 혁신 플랫폼 'Q-DrugX' 프로젝트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차세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기존 신약개발의 근본적 한계를 돌파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127억원 규모 국가 프로젝트 주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에서 삼진제약이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어 최대 127억5000만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됐다. 4년 6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양자-AI 하이브리드 기술을 통한 혁신 후보물질 발굴과 전임상 단계 진입을 핵심 목표로 한다.
컨소시엄 구성을 보면 삼진제약이 총괄 관리와 후보물질 합성·평가, 전임상 패키지 구성, 사업화 전략을 담당한다. 퀀텀인텔리전스와 나무ICT는 양자 기반 표적 발굴 분야를,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생성형 모델을 통한 물질 최적화를, 서울대학교병원은 신규 타깃 검증과 전임상 평가 및 초기 임상 전략을 각각 맡는다.
기존 신약개발 패러다임의 전환
전통적인 신약개발 과정은 후보물질 설계-합성-평가의 반복적 사이클로 인해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 특히 난공략성 타깃의 경우 결합 예측과 후보 선별 과정에서 빈번한 병목 현상이 발생해 개발 중단 사례가 잦았다.
'Q-DrugX' 플랫폼은 양자역학 원리에 기반한 고정밀 결합 시뮬레이션 기술과 양자 머신러닝, 생성형 AI 모델의 통합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탐색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향상시켜 기존 방식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타깃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계획이다.
양자컴퓨팅의 신약개발 적용
양자컴퓨팅은 기존 슈퍼컴퓨터가 수백 년에 걸쳐 처리할 연산을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다. 기존 컴퓨터의 이진법 체계와 달리 양자역학의 중첩 원리를 활용해 방대한 경우의 수를 동시 연산할 수 있어 신약 설계, 암호 해독, 금융 리스크 분석 등 복잡한 문제 해결의 핵심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후보 발굴을 넘어 양자컴퓨팅이 실제 신약개발 현장에서 그 가치를 증명하는 첫 실증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전망과 기대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센터장은 "양자와 AI의 융합은 기존 계산 방식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난공략성 타깃의 분자 메커니즘을 새롭게 규명하는 혁신적 수단"이라며 "Q-DrugX 플랫폼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양자-AI 기반 신약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난공략성 질환 분야의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K-헬스미래추진단 이창복 PM은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의 성공 모델을 창출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국가 보건의료 현안 해결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 이전글'마음:단단' 플랫폼, 군 복무자를 위한 무상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개시 25.09.10
- 다음글역대 최대 규모의 외국인 환자 유치 25.09.0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