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급등 이유는? 금(金) 시세 존재부터 지금 흐름까지
고대부터 통화·저장수단이었던 금이 왜 지금 다시 급등하고 있는가?왜 사람들은 ‘금값’에 주목할까. 금 시세는 단순히 금 그 자체의 가격이 아니라 통화·투자·안전자산으로서의 금의 역할이 맞물려 있다. 고대로부터 ‘빛나는 금’은 권력과 재물의 상징이었고, 현대에는 포트폴리오와 국가준비자산의 한 축이다. 지금 금값이 오르고 있다는 것은 ‘금으로서의 가치’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는 뜻이다.금 시세는 왜 있는가금은 원래 교역·화폐의 형태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결과 금에 대한 시장 가격(시세)이 존재한다. 금이 화폐로 기능했던 시절, 화폐 가치로서의 기준이 되었던 만큼 “금 1온스는 얼마”라는 평가가 필요했다. 또 금은 희소성과 내구성, 이동성 등으로 인해 교환매개물 및 가치저장 수단이 되었고, 이는 곧 시장에서 ‘표준 단위’로서 시세를 형성하게 만든다. 오늘날에는 금을 실제로 매매하고 투자하는 시장(금괴·코인·ETF)을 통해 ‘현재 가치는 얼마인가’가 실시간으로 반영되고, 이 값이 시세로서 존재한다.예로부터 금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나고대로부터 금은 장신구·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가 점차 교환수단으로 자리잡았다. 기원전 600년경 소아시아 리디아에서 금·은 혼합물로 된 화폐가 유통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중세 이후부터 근대까지는 금화, 금본위제, 국가의 금 보유고 등이 국가 신뢰·통화가치의 핵심이 되었다. 이런 역사적 맥락에서 금은 단순히 장식품이나 귀금속이 아니라 ‘교환 가능한 가치 매개체’, ‘저장 가능한 부’, ‘국가의 신뢰 표시’ 역할을 해왔다.현재 금은 어떤 수단인가현대에 있어 금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리스크 헤지 수단 : 주식·채권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자산으로 여겨진다. ‧국가 및 중앙은행의 준비자산 : 세계 여러 나라가 금 보유고를 늘리고 있으며, 달러 중심 외환보유체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의 상대적 매력이 커졌다. ‧지정학적·통화·인플레이션 리스크 대응 수단 : 경제나 정치가 불안할 때 ‘안전자산’으로서 금이 주목받는다. 즉, 현재 금은 ‘장식하거나 화폐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보유자가 믿는 가치의 저장고’이자 ‘불확실성 대응용 투자자산’으로 기능하고 있다.왜 지금 금 시세는 오르고 있는가금 시세 상승 배경을 살펴보면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지정학적 불안정성 증가: 예컨대 우크라이나·중동 등에서 갈등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올라갔다. ‧달러 약세 및 금리(기대 인플레 조정 후 실질금리) 하락 기대 : 달러 가치가 약해지고 금리 내릴 가능성이 커질수록 금 보유 유인이 커진다. ‧중앙은행 및 국가들의 금 매입 확대 : 비공개 매입을 포함해 많은 중앙은행이 금 보유를 늘리고 있다. ‧투자자 및 ETF 유입 증가 : 금관련 펀드나 ETF에 자금이 몰리면서 가격 상승에 기여했다. ‧기존의 전통모델과 달리 시장 구도가 바뀌었다 : 인플레이션 뿐 아니라 통화체계 변화, 달러 의존도 축소 등이 새로운 변수로 작용 중이다. 예컨대 올해 금값은 연초 대비 약 100% 가까이 상승했고, 최근에는 금 한 돈(3.75g)에 70만원을 상회하고 있다.하지만 최근 단기 조정 신호도 보인다.예컨대 하루에 6 % 이상 하락한 사례도 나왔고, 이는 과열 경고로 해석되기도 한다. 전망지금 금값 상승은 과거처럼 단지 인플레이션 헤지만이 아니라 국가·시장·투자자가 서로 다른 루트로 금을 바라보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다만 과열 경고도 존재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15~25 % 조정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계속된 지정학 리스크·달러약세·중앙은행 매입세로 금값은 추가 상승 여력이 있지만, 반대로 글로벌 경제 안정화·금리 인상·달러강세 등이 나타난다면 조정이 올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금을 ‘전부’ 대신 ‘포트폴리오 일부 헤지 수단’으로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2025.10.22